IT

왜 2025년 중국 AI는 '속도'로 세계를 놀라게 하는가?

중트레팀 2025. 4. 7. 10:50
반응형

2025 중국 AI '속도' 세계를 놀라게 하는가?
– DeepSeek,
국가 주도의 확장 전략, 그리고 새로운 경쟁 판도

AI는 이제 어디서든 들리는 익숙한 주제지만, 그중에서도도입 속도구조에서 눈에 띄는 나라가 있다. 바로 중국이다.

기술력만을 강조하기보다, 중국은 정책 속도, 도입 속도, 상용화 속도에 집중해 왔다. 그리고 그 가속의 중심에는 DeepSeek이라는 신생 기업이 있다.

 

2025 중국 AI 산업의 핵심은속도’.

DeepSeek와 기존 강자의 경쟁, 대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중국의 전략을 살펴봅니다.


1. 중국 AI 전략에서속도 핵심이 이유

2023년부터 중국 정부는 'AI + 산업'을 국가 전략으로 설정하고,

·       항저우, 선전, 청두 등을 중심으로 AI 시범 지구 지정

·       교육, 의료, 교통, 공공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 AI 도입을 가속화

·       중앙정부지방정부 실행기업 확산이라는 구조가 놀라운 속도로 순환

기획에서 실행까지 딜레이가 거의 없는 이 생태계는, 중국 AI 산업을 풀가동 상태의 엔진으로 만들고 있다.


2. DeepSeek – 오픈소스로 흔드는 중국형 LLM 혁신

2023년 말 항저우에서 설립된 DeepSeek은 자사 대형 언어 모델DeepSeek-RMIT 오픈소스 라이선스로 공개했다. 중국의 규제 중심적 분위기에서 이는 파격적인 행보다.

·       GPT-4와 비슷한 성능을 갖추고도 훨씬 낮은 비용

·       누구나 자유롭게 실험하고 서비스에 도입할 수 있음

·       중국 내외 개발자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생태계를 구축

📌 하지만 중국은 2024년부터 LLM 등록제를 시행하며, 모든 대형 AI 모델은 사전 등록 및 승인 후 공개해야 한다. DeepSeek은 이오픈성국가 규제사이에서 긴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DeepSeek대기업 도입률은 6개월 만에 4배 이상 증가했다는 추정치가 나올 정도로 빠르게 확산 중이다.


3. DeepSeek 등장 이후 판도 변화 – Kimi 기존 강자의 흔들림

DeepSeek의 급성장은 기존 LLM 시장의 구도를 바꾸고 있다.

·       Kimi Baichuan 기반 고성능 모델로 코드 생성과 고난이도 질문 응답에서 강세를 보여왔지만,

·       DeepSeek-R이 벤치마크 성능에서 우위를 점하면서 사용자 이탈과 퍼포먼스 저하가 나타나고 있음

·       오픈소스인 DeepSeek은 빠른 확산성과 커뮤니티 개선 속도에서도 Kimi보다 유리

Baidu ERNIE, iFlytek Spark 역시 전략 수정을 고민 중이며, 이제 중국 시장은누가 더 똑똑하냐보다누가 더 빠르게 사용되느냐를 묻는 판으로 전환됐다.


4. 정부 + 대기업 + 스타트업, 중국 AI 3 엔진

중국 AI 산업의 속도는 단일 기업이나 정책이 아닌, 정부대기업스타트업의 전략적 연합 구조에서 나온다.

·       정부는 인프라와 제도를 빠르게 정비하고

·       대기업은 모델을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며

·       스타트업은 기술 실험과 특화 모델 개발을 주도한다

이 구조는 DeepSeek의 실제 적용 사례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 텐센트 (Tencent)

·       WeChat 고객 응대 챗봇에 DeepSeek LLM을 탑재

·       Tencent Cloud에서 문서 요약/검색 기능에 활용

·       AI 도입 후 고객 이탈률 18% 감소 (내부 보고서 기준)

🔵 알리바바 (Alibaba)

·       Alibaba Cloud DeepSeek API 통합

·       전자상거래 부문에서 상품 설명 생성, 리뷰 요약, 실시간 질의응답에 활용

·       2025 1분기 기준, AI 기반 콘텐츠 생성량 전년 대비 3.4배 증가

🟢 바이트댄스 (ByteDance)

·       콘텐츠 분류 알고리즘에 DeepSeek 분류 모델 시범 적용

·       Douyin(중국 틱톡)의 광고 문구 자동 리라이팅 기능에 실험 적용 중

이처럼 중국은정책플랫폼실전이 동시에 작동하는 시스템을 갖췄다.


AiPPT.cn – 일상 속에서 체감되는 생산성 AI

DeepSeek이 기술 인프라를 담당한다면, AiPPT.cn은 실생활에서 체감되는 생산성 중심 AI 도구.

·       키워드 또는 주제 입력만으로 슬라이드 자동 생성

·       논리 구조와 시각 스타일까지 자동 조정

·       교육, 기업, 강연 등 다양한 현장에서 빠르게 확산

DeepSeek처럼 기술 기반은 아니지만, AI의 실용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요약: 지금 중국 AI 속도가 중요한 이유

1.    중국은 이론보다 실전 도입 속도를 우선시하고 있다

2.    DeepSeek은 중국식 고속 오픈소스 LLM의 대표 사례다

3.    정부·대기업·스타트업이 삼각축으로 AI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4.    기존 강자(Kimi, Baichuan )도 재편 대상이 되고 있다

5.    AiPPT 같은 생산성 도구는 시장의 실질 도입 흐름을 보여준다


기술은 연구소에서 만들어지지만, 시장은속도확산으로 만들어진다.
중국은 빠르게 개발하고,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
이제 남은 질문은 이것이다: 우리는 그 속도를 따라잡을 수 있을까?


참고 링크

1.    DeepSeek GitHub: https://github.com/deepseek-ai

2.    MIT 오픈소스 라이선스: https://opensource.org/licenses/MIT

3.    Reuters – 중국 오픈소스 규제 관련: https://www.reuters.com/breakingviews/chinas-love-open-source-ai-may-shut-down-fast-2025-04-02/

4.    Barron’s – 텐센트 AI 전략: https://www.barrons.com/articles/taiwan-semi-tencent-asml-stock-ai-8f4eabef

5.    PBS – DeepSeek 소개: https://www.pbs.org/newshour/science/what-is-deepseek-heres-a-quick-guide-to-the-chinese-ai-company

매일경제항저우 AI 혁신 허브 관련 기사: https://www.mk.co.kr/en/world/11231444

반응형